728x90

pglogical 2

[PostgreSQL] pglogical을 이용한 DB 이중화 구성하기_2, 양방향 이중화를 구성해 보자

지난 포스팅에서 pglogical을 이용한 DB 이중화 구성을 테스트했을 때, 마지막에 구독을 하고 있는 노드에서 INSERT, UPDATE, DELETE 등의 DML 명령어를 사용했을 때 read-only 모드가 아니기 때문에 값이 DB에 반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. read-only 모드로 사용하는 방법이던지, 뭔가 다른 방법이 있을 것 같지만 이런 것들을 찾아보기 이전에 양방향 이중화. bi-directional replication 글을 읽었기 때문에 이 방법 먼저 알아보기로 하였다. https://aws.amazon.com/ko/blogs/database/postgresql-bi-directional-replication-using-pglogical/ PostgreSQL bi-directi..

DB 2022.09.21

[PostgreSQL] pglogical을 이용한 DB 이중화 구성하기

PostgreSQL의 공식 문서 27번 항목은 Chapter 27. High Availability, Load Balancing, and Replication. 고가용성, 로드 밸런싱, 복제를 설명하고 있다. 이제 막 이중화에 대해 알아가기 시작하는 단계라 자세히는 모르지만 이중화를 구성함으로써 failover를 기대할 수 있고, 부하를 분산시킬 수도 있다고 한다. 이 중 오늘 알아볼 것은 공식 문서 27.1 항목에서 논리적 복제(Logical Replication)를 이용한 모듈인 pglogical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. pgsql에서 논리적 복제는 Write-Ahead 로깅(WAL)에서 논리적 데이터 수정 스트림을 구성하여 테이블 별로 데이터 변경 사항을 복제할 수 있다고 되어있다. pglogica..

DB 2022.09.20
728x90